PE 하수도관 | 하수관 강도- 최소강성(PS, kgf/㎡)과 원강성(RS, SN)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페이지 정보
작성자 새한합성산업 작성일16-07-21 16:38 조회2,898회 댓글0건본문
1. 최소강성(PS)과 원강성(RS, SN) 둘다 폴리에틸렌(PE) 하수도관의 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.
2. 사용시기의 차이?
최소강성(PS)는 2006년 이전까지 하수도관의 강도를 지칭하는 용어였습니다.
2006년 이후~현재까지 폴리에틸렌 하수도관의 강도는 원강성(RS)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.
3. PE 하수도관의 강도와 관련 표준?
우리나라 폴리에틸렌(PE) 하수도관의 제품표준은 1994년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이
단체표준(KPS M 2009 폴리에틸렌 이중벽 및 복층벽 구조 하수도관)을 먼저 제정하였고,
2009년5월 기술표준원에서 KS규격(KS M 3500-1,2 배수 및 하수용 비압력 매설용 구조형 폴리에틸렌관)을 제정하였습니다.
초기(1994년~2005년) 단체표준에서 폴리에틸렌(PE) 하수도관의 강도를
최소강성(=파이프강성, PS: Pipe Stiffness)을 기준으로 하였으나,
2006년03월 단체표준의 개정부터 원강성(RS: Ring Stiffness)을 하수도관의 강성 기준으로 규정하고,
2009년05월 KS규격 제정, 현재까지 원강성이 폴리에틸렌(PE) 하수도관의 강도 기준이 되고있습니다.
4. 주의 하십시오.
최소강성(=파이프강성, PS)과 원강성(RS)의 상관(변환) 관계를 문의하는 분들이 계셔서
국가공인 시험기관에 문의한 결과, “최소강성(관의 5%변형 하중조건)과
원강성(관의 3% 변형 하중조건)의 시험 결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고,
시험 값이 서로 호환되지 않는 별도의 시험이므로, 별도의 강성 기준을 적용해야한다.“ 는 답변를 받았습니다.
5. 최소강성(PS)와 원강성(RS) 비교표
구 분 | 과거 (단체표준) | 현재 ( KS표준 ) | 비고 | ||||
명칭 | 최소강성 (PS) | 원강성 (RS) | <?xml:namespace prefix = o /> | ||||
기호 (단위) | PS ( kgf/㎠ ) | SN ( kN/㎡ ) |
| ||||
정 의 | 관이 수직 하중에 의해 관경 5% 변형 시 관의 길이당 하중을 관 변형 길이로 나눈 값 | 관이 수직 하중에 의해 관 안지름 3% 변형 시 관의 길이당 하중을 관안지름 변형 길이로 나눈 값 |
| ||||
|
|
|
| ||||
강성 기준 | 관종 관경 | 이중벽관 | 다중(복층)벽관 | 관종 관경 | 이중벽관 | 다중벽관 |
|
관경별 구분 없음 | 3.5 kgf/㎠ 이상 | 6.5 kgf/㎠ 이상 | D150 ~ 200 | 12.5 kN/㎡ 이상 | 16 kN/㎡ 이상 | ||
D250 ~ 600 | 8 kN/㎡ 이상 | 12.5 kN/㎡ 이상 | |||||
D700 ~ 1 200 | 4 kN/㎡ 이상 | 8 kN/㎡ 이상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